맨위로가기

대만군 (일본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군은 일본 제국이 대만을 점령한 후 1919년 8월 20일에 설치된 군급 부대이다. 1895년 대만총독부 군무국에서 출발하여 육군막료를 거쳐 대만군으로 전환되었으며,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다. 1945년 2월 대만 군관구로 재편성되었고, 같은 해 8월 종전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대만 일본군 - 다카오 경비부
    다카오 경비부는 1943년 마코 경비부에서 개명되어 설치되었으며, 1946년 종전과 함께 폐지되어 현재는 중화민국 해군 기지로 사용된다.
  • 주대만 일본군 - 고비 해군항공대
    고비 해군항공대는 1944년 5월에 창설되어 해군비행예과연습생에게 비행 훈련을 실시한 일본 해군 항공대 부대였으나, 1945년 2월에 해체되어 잔존 인원은 타이완 해군항공대에 편입되었다.
  • 1919년 설립된 단체 - 국제 노동 기구
    국제노동기구(ILO)는 사회 정의를 통해 평화를 추구하고자 1919년 설립되어 삼자주의 거버넌스 구조로 국제 노동 기준을 제정하고 노동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국제기구이다.
  • 1919년 설립된 단체 - 후버 연구소
    후버 연구소는 허버트 후버 대통령의 기부금으로 설립된 스탠퍼드 대학교 소속의 보수 성향 싱크탱크이자 기록 보관소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저명 인사들과 관련을 맺고 미국 정계에 영향을 주고 있지만, 당파성과 보수적 입장으로 비판받고 있다.
대만군 (일본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일본 제국 대만군 사령부, 타이호쿠
일본 제국 대만군 사령부, 타이호쿠
명칭대만군 (타이완군)
존속 기간1919년 8월 20일 - 1944년 9월 22일
국가일본 제국
소속일본 제국 육군
규모
병과보병
역할군단
주둔지타이호쿠
통칭호알 수 없음
애칭알 수 없음
표어알 수 없음
담당 지역대만
상급 부대천황 직할
연혁
창설1919년 8월 20일
해체1944년 9월 22일
전투 및 작전
주요 전투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1935년 편성
상위 부대대본영
하위 부대대만 수비대
제1대만 보병 여단
제2대만 보병 여단
대만 산악 포병 여단
제8대만 대공 포병 연대
제1전차 연대
제2전차 연대
제6전차 연대
제14전차 연대
제3야전 포병 연대
제18야전 포병 연대
제1신호 연대
제3항공 사단
제3항공 여단
제7항공 여단
제10항공 여단
제12항공 여단
제5항공 사단
제4항공 여단

2. 역사

일본 제국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대만을 점령한 후, 1895년 대만총독부를 설치했다. 군무국은 1897년 육군막료와 해군막료로 분리되었고, 육군막료는 1908년 육군부를 거쳐 1919년 대만군으로 전환되었다.[6]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 이후, 대만 수비대는 상하이 파견군에 소속되어 중일전쟁에 참전했다. 이들은 후지시게 지대, 대만 혼성여단을 거쳐 제48사단으로 재편되었으며, 난징 대학살에 가담했다.

1938년 국민혁명당 공군과 소련 붉은 군대 공군쑹산 공습으로 臺北南機場|타이베이난 비행장중국어이 피해를 입었다. 1943년에는 Hsinchu Airport|신치쿠 비행장영어이 국민혁명당 공군, 미국 육군 항공대(USAAF) 제14공군, 中美空軍混合團|중미공군혼합단중국어(CACW)의 공습을 받았다.

태평양 전쟁에서 연합군에 밀리자, 일본 육군성은 1944년 제10방면군, 제8비행사단, 제50사단, 제66사단을 편성했다. 이때부터 대만군 사령관은 제10방면군 사령관직을 겸임했다.

1945년 2월 1일, 대만군은 대만군관구로 재편되었다. 같은 해 5월 31일 타이베이 대공습으로 피해를 보았으나, 연합군의 상륙작전은 없어 타이베이에서 종전을 맞았다.

2. 1. 설립 배경

청일 전쟁 이후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타이완에 대한 지배권이 에서 일본 제국으로 넘어갔다. 일본은 1895년 6월 17일 대만 총독부를 설치하고, 군무국을 두었다. 1897년 11월 1일, 군무국은 육군막료와 해군막료로 분리되었다. 육군막료는 1908년 10월 14일에 육군부를 거쳐, 1919년 8월 20일에 군급 부대인 대만군으로 전환되었고, 이틀 후인 22일부터 업무를 개시하였다.[6]

1919년 8월 20일, 대만 총독에게 문관을 임명할 수 있도록 지휘 계통을 총독부에서 분리하여 대만군을 독립된 군으로 개편하였다. 같은 해 8월 22일, 사령부는 타이베이 성 내 서문가(구 대만 총독부 육군부 청사)에서 업무를 시작했으며,[1] 이후 타이베이시 얼위안 마치에 설치되었다.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대만 수비대는 상하이 파견군에 배속되어 중국 대륙에 파견되었다. 이 부대는 대만 혼성 여단[2]을 거쳐 제48사단으로 개편되었다. 제48사단은 난징 대학살에 가담하기도 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이 격화되면서, 1944년 일본은 제10방면군을 창설하고, 제8비행사단, 제50사단, 제66사단을 편성하여 전력을 강화하였다. 이때부터 대만군 사령관은 제10방면군 사령관직을 겸임하였다.[3] 1945년 2월 1일, 대만군은 '''대만 군관구'''로 개칭되었으며,[4] 같은 해 8월 패전을 맞이하였다.

2. 2. 대만군 창설과 발전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대만을 점령하게 된 일본 제국은 1895년 6월 17일에 대만 총독부를 설치하고, 산하에 군무국을 두었다. 1897년 11월 1일, 군무국은 육군막료와 해군막료로 분리되었다. 육군막료는 1908년 10월 14일에 육군부를 거쳐, 1919년 8월 20일에 군급 부대인 대만군으로 전환되었고, 이틀 후인 22일부터 업무를 개시하였다.[6]

루거우차오 사건 이후 1937년 8월 15일, 대만 수비대가 2차 편성된 상하이 파견군으로 전속하여 중일전쟁에 참전하게 됨에 따라 후지시게 지대(藤重支隊|ふじしげじたい|후지시게지타이일본어), 대만 혼성여단을 거쳐 제48사단이 되었다. 이 부대는 난징 대학살을 일으켰다.

1938년 2월 23일, 국민혁명당 공군과 소련 붉은 군대 공군쑹산 공습으로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가 운영하던 臺北南機場|타이베이난 비행장중국어이 피해를 입었다. 1943년 11월 25일에는 Hsinchu Airport|신치쿠 비행장영어이 국민혁명당 공군과 미국 육군 항공대(USAAF) 제14공군, 中美空軍混合團|중미공군혼합단중국어(CACW)의 공습을 받았다.

태평양 전쟁에서 연합군에게 밀리면서 위기감을 느낀 일본 육군성은 1944년에 제10방면군제8비행사단, 제50사단, 제66사단을 편성하였다. 이때부터 대만군 사령관은 제10방면군 사령관직을 겸직하였다.

1945년 2월 1일, 대만군은 대만군관구로 재편성되었다. 5월 31일에 USAAF 제5공군에 의한 타이베이 대공습으로 피해를 입었으나, 연합군의 상륙작전이 없었기에 본격적인 전투는 겪지 않고 타이베이에서 종전을 맞이하였다.

2. 3. 중일전쟁 참전

루거우차오 사건 이후 1937년 8월 15일에 대만 수비대가 2차 편성된 상하이 파견군으로 전속되어 중일 전쟁에 참전하게 됨에 따라 후지시게 지대(藤重支隊|ふじしげじたい|후지시게지타이일본어), 대만 혼성여단을 거쳐 제48사단이 되었다.[6] 이 부대는 난징 대학살을 일으켰다.

1938년 2월 23일, 국민혁명당 공군과 소련 붉은 군대 공군쑹산 공습으로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가 운영하던 臺北南機場|타이호쿠난 비행장일본어이 피해를 입었다.

중일 전쟁 발발 당시 대만 수비대는 상하이 파견군의 지휘 아래 편입되어 중국 대륙에 파견되었으며, "대만 혼성 여단[2]"을 거쳐 제48사단으로 개편되었다.

2. 4. 태평양 전쟁과 종전

루거우차오 사건 이후 1937년 8월 15일에 대만 수비대가 2차 편성된 상하이 파견군으로 전속되어 중일전쟁에 참전하게 됨에 따라 후지시게 지대(藤重支隊|ふじしげじたい|후지시게지타이일본어), 대만 혼성여단을 거쳐 제48사단이 되었다. 이 부대는 난징 대학살을 일으켰다.[6]

1938년 2월 23일, 국민혁명당 공군과 소련 붉은 군대 공군쑹산 공습으로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가 운영하던 臺北南機場|타이베이난 비행장중국어이 피해를 입었다.

1943년 11월 25일, Hsinchu Airport|신치쿠 비행장영어이 국민혁명당 공군과 미국 육군 항공대(USAAF) 제14공군, 中美空軍混合團|중미공군혼합단중국어(CACW)의 공습을 받았다.

태평양 전쟁에서 연합군에게 밀리면서 위기감을 느낀 육군성의 명령에 따라 1944년에 제10방면군제8비행사단, 제50사단, 제66사단을 편성하였다. 이때부터 대만군 사령관은 제10방면군 사령관직을 겸직하였다.

1945년 2월 1일, 대만군관구로 재편성되었다. 5월 31일에 USAAF 제5공군에 의한 타이베이 대공습으로 피해를 입었으나, 연합군의 상륙작전이 없었기에 본격적인 전투는 겪지 않고 타이베이에서 종전을 맞이하였다.

3. 지휘부

대만군의 지휘부는 사령관과 참모장으로 구성되었다.

사령관과 참모장의 상세 정보는 각각 하위 문서를 참조하라.

3. 1. 사령관

대만군 사령관
순번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비고
1대장아카시 모토지로1919년 8월 20일1919년 10월 26일사망
2대장시바 고로1919년 11월 1일1921년 5월 4일
3중장후쿠다 마사타로1921년 5월 4일1923년 8월 6일
4중장스즈키 소로쿠1923년 8월 6일1924년 8월 20일
5중장스가노 히토이치1924년 8월 20일1926년 7월 28일
6중장다나카 구니시게1926년 7월 28일1928년 8월 10일
7중장히사카리 다카시1928년 8월 10일1930년 6월 3일
8중장와타나베 소타로1930년 6월 3일1931년 8월 1일
9중장마사키 진자부로1931년 8월 1일1932년 1월 9일
10중장아베 노부유키1932년 1월 9일1933년 8월 1일
11중장마쓰이 이와네1933년 8월 1일1934년 8월 1일
12중장데라우치 히사이치1934년 8월 1일1935년 12월 2일
13중장야나가와 헤이스케1935년 12월 2일1936년 8월 1일
14중장하타 슌로쿠1936년 8월 1일1937년 8월 2일
15중장후루소 모토오1937년 8월 2일1938년 9월 8일
16중장고마다 도모오1938년 9월 8일1939년 12월 1일
17중장우시지마 미쓰네1939년 12월 1일1940년 12월 2일
18중장혼마 마사하루1940년 12월 2일1941년 11월 6일
19중장안도 리키치1941년 11월 6일


3. 2. 참모장

순번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비고
1소장曽田孝一郎|소다 고이치로일본어1919년 8월 20일
2소장佐藤小次郎|사토 고지로일본어1921년 2월 25일
3소장渡辺金造|와타나베 긴조일본어1924년 2월 4일
4소장佐藤子之助|사토 네노스케일본어1927년 7월 26일
5소장고바야시 다케시1930년 4월 24일
6소장清水喜重|시미즈 요시시게일본어1932년 4월 11일
7소장大塚堅之助|오즈카 겐노스케일본어1933년 3월 18일
8소장桑木崇明|구와키 다카아키라일본어1934년 1월 22일1935년 8월 1일 [7]
9소장荻洲立兵|오기스 릿페이일본어1935년 8월 1일
10소장秦雅尚|하타 마사히사일본어1937년 3월 1일
11소장田中久一|다나카 히사카즈일본어1938년 2월 19일1938년 9월 8일
12소장大津和郎|오쓰 와로일본어1938년 10월 15일
13소장上村幹男|우에무라 미키오일본어1940년 3월 9일
14소장和知鷹二|와치 다카지일본어1941년 3월 1일
15소장樋口敬七郎|히구치 게이시치로일본어1942년 2월 20일
16소장近藤新八|곤도 신바치일본어1943년 10월 29일
17소장諫山春樹|이사야마 하루키일본어1944년 7월 8일


4. 부대 편성

1935년 당시 대만군은 다음과 같이 편성되었다.


  • 대만군 사령부
  • 대만 수비대 사령부
  • 대만 보병 제1연대
  • 대만 보병 제2연대
  • 대만 산포병 대대
  • 대만 고사포 제8연대
  • 지룽 요새 사령부
  • 지룽 중포병 대대
  • 펑후섬 요새 사령부
  • 마공 중포병 대대
  • 비행 제8연대 → 비행 제8전대

4. 1. 1930년

대만군 사령부에는 막료, 병기부, 경리부, 군의부, 수의부, 법무부가 있었다. 대만군 군법회의는 재판부와 검찰부로 구성되었다. 타이베이에는 타이베이 위수 형무소가 있었다.

대만수비대 사령부는 타이베이에 있었으며,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았다.

제1대대제2대대제3대대(타이중)기관총대(타이베이)
제1중대, 제2중대(이란), 제3중대, 제4중대제5중대, 제6중대, 제7중대, 제8중대제9중대, 제10중대, 제11중대, 제12중대


  • 대만 보병 제2연대(타이난, 현재 국립 성공 대학 광푸 교구 옛 대만보병 제2연대 막사):

제1대대제2대대제3대대(화롄항)기관총대(타이난)
제1중대, 제2중대, 제3중대, 제4중대제5중대, 제6중대, 제7중대, 제8중대제9중대(위리진), 제10중대, 제11중대(타이둥), 제12중대, 海鼠山 분견대; 1930년 폐지


  • 대만 산포병대대(타이베이, 현재 국가양청원): 제1중대, 제2중대
  • 비행 제8연대(핑둥): 제1중대, 제2중대, 재료창
  • 지룽 중포병대대: 제1중대, 제2중대
  • 마쭈 중포병대대: 제1중대, 제2중대
  • 지룽 요새 사령부, 펑후섬 요새 사령부
  • 지룽 위수병원
  • 타이베이 위수병원: 타이중분원, 이란 분원, 베이터우 분원
  • 타이난 위수병원: 제목 분원, 펑둥 분원, 화롄항 분원, 위리진 분원, 타이둥 분원
  • 펑후섬 위수병원
  • 대만 헌병대
  • 육군운송부 지룽출장소
  • 후커우 연습장(후커우 장), 자이 연습장(바이허 장)[8][9]

4. 2. 1941년

부대세부 편제
대만군 사령부막료, 병기부, 경리부, 군의부, 수의부, 법무부
기타 부대대만군 군법회의, 대만군 무선전신교습소, 대만 육군구금소 (원래 위수형무소)
대만 제3부대
대만 제4부대
대만 제5부대제1중대, 제2중대
대만 제6부대제1중대, 제2중대
대만 제72부대제1중대, 제2중대, 제3중대, 재료창
대만 제73부대제1중대, 제2중대
대만 제82부대
요새 사령부지룽 요새 사령부, 펑후섬 요새 사령부, 타카오 요새 사령부
육군 병사부대만 육군 병사부, 타이난 육군 병사부
대만 육군 창고타카오 지창, 지룽 출장소, 자이 출장소, 타이난 출장소
육군병원지룽 육군병원, 타이베이 육군병원(위엔산 분실, 이란 분원, 베이터우 분원), 타이난 육군병원(본원, 공위엔 분실, 자이 분원, 타카오 분원), 타이중 육군병원, 펑둥 육군병원, 펑후섬 육군병원
기타 시설후커우 연습장, 육군항공공창 펑둥 지창, 선박사령부 제목 지부, 지룽 출장소[10]
대만 제31부대제2대대, 비행장대대
대만 제32부대제1대대, 제2대대, 제3대대, 비행장대대
대만 제33부대제1대대, 제2대대, 비행장대대
대만 제34부대
헌병대타이베이 헌병대, 타이난 헌병대


4. 3. 1944년 3월

1944년 3월 당시 대만군의 부대 목록은 다음과 같다.

부대 종류부대 이름
대만군 사령부사령관: 안도 리키치
보병 연대 보충대대만 보병 제1연대 보충대, 대만 보병 제2연대 보충대, 보병 제47연대 보충대, 보병 제48연대 보충대
포병 연대 보충대산포병 제48연대 보충대
공병 및 치중병 연대 보충대공병 제48연대 보충대, 치중병 제48연대 보충대
고사포 연대고사포 제161연대, 고사포 제162연대
항공 정보대대만군 항공정보대
요새펑후섬 요새, 지룽 요새, 타카오 요새
특설경비대제501, 502, 551, 552대대, 제501, 503, 505, 507~10중대
교육대대만군 교육대


참조

[1] 간행물 官報 1919-09-02
[2] 문서 [[第二次上海事変]] 관련 내용
[3] 서적 (서적 제목 추정 불가능, 추가 정보 필요) 2005
[4] 서적 (서적 제목 추정 불가능, 추가 정보 필요) 2005
[5] 간행물 官報 1935-08-02
[6] 뉴스 官報 1919-09-02
[7] 뉴스 官報 1935-08-02
[8] 서적 臺灣官民職員錄 臺灣文官武官民間職員錄發行所 1928-08-18
[9] 서적 대臺灣官民職員錄 臺灣文官武官民間職員錄發行所 1930-09-30
[10] 웹인용 台湾軍将校職員表 昭16年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